경기도교육청TV는 최근 공식 유튜브 채널(경기도교육청TV - YouTube)을 통해 '디지털 시민성 교육'을 위한 영상자료를 게시했다. 4차 산업시대를 맞이하여 다양한 미디어와 함께 살아갈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시민성 교육은 새로운 시대에 맞는 핵심적인 미래역량으로 '2023 인성교육 시행계획'에서도 가장 강조하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에 올해부터 포곡고의 인성교육 업무를 새롭게 담당하게 된 어문사회교육부는 포곡인의 디지털 인성 함양을 위해 경기도교육청TV의 디지털 시민성 교육 영상을 '창포향기'에 함께 게시하기로 했다. 다음은 2023년 2월 27일(월) '경기도교육청TV'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디지털 시민성 교육 영상 링크 주소다. 이 영상들이 미래사회의 주역이 될 포곡인들이 디지털 시민성을 함양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디지털 시민교육①] '디지털 미디어 식별(https://youtu.be/Xh4-6sINxbU)' ▲ [디지털 시민교육②] '디지털 (성)폭력(https://youtu.be/XDNYHOqgQb4)' ▲ [디지털 시민교육③] '디지털 미디어 예절(https://youtu.be/SdP-Fy4mqAE)' 포곡고등
포곡고등학교가 지난 2일 제15회 입학식 및 개학식을 통해 2023학년도 새 학기를 열었다. 본교 강당에서 진행된 입학식은 11개 학급 357명의 1학년 신입생을 환영하는 임우현 교장선생님의 환영사로 시작됐다. 특히 교장 선생님은 '자신의 권리와 행복만큼 타인의 권리를 중요하게 여길 수 있는 책임 있는 학교생활'을 강조하여, '바른 인성으로 세상에 기여하는 창의적인 민주시민'을 길러내는 포곡고의 인재상에 맞는 학생으로 성장해주기를 당부했다. 이어 올해 새로 부임한 오경순 교감 선생님과 양미연 행정실장 소개와 함께 각 부서 부장단과 1학년 담임 소개가 이어졌다. 특히 각반의 담임선생님들이 소개될 때마다 반별로 박수와 함성이 어울어졌다. 신입생 대표 선서는 김규리 학생(1학년)이 357의 신입생을 대표해서 단상 위에서 선서문을 낭독했고, 다른 신입생들도 함께 포곡고 학생으로서 자부심을 갖고 학교생활을 해나갈 것을 다짐했다. 대표 선서를 맡은 김규리 학생은 "고등학교에 입학하니 앞으로의 고등학생 생활이 기대되고 설레요. 포곡고등학교 시설도 좋고 선생님들도 친절하신 것 같아서 고등학교 생활을 잘 헤쳐나갈 수 있을 것 같아요."라며 입학 소감을 밝혔다. 강당에서 진행
우리는 1년 365일, 친구와 가족, 직장 동료, 심지어는 자기 자신과 수많은 '협상'을 하며 살아간다. 협상의 안건은 작게는 약속장소나 식사메뉴 부터, 크게는 투표나 정책 결정과 같이 매우 다양하다. 이런 ‘협상’은 경영학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협상을 통해 우리, 그리고 기업은 궁극적 목표를 이루는 합리적 경영을 할 수 있다. 협상(negotiation)이란? 어떤 목적에 부합되는 결정을 하기 위해, 여럿이 서로 의논하는 행위를 말한다. 협상을 단순히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키는 수단이라고 생각할수도 있지만, 경영학 관련 서적들에서는 '협상의 과정을 세분화시킨 뒤, 협상 참여자 모두가 서로 도움이 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경영학 관점에서, 협상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과정을 살펴보면, ▲협상자특성 + 상황적요인 ▲협상 과정 ▲협상 결과의 순서로 진행된다고 정리할 수 있다. ▲협상자 특성의 핵심 역량은 ‘경청’과 ‘설득’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협상은 혼자 하는 것이 아니라 둘 이상의 주체가 참여하기 때문에, 그 시작은 협상 상대방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것에서 시작된다. 또한, 협상 안건과 관련된 사전 준비를 통해 자신의 메시
당신의 소비 습관은 합리적인가? 요즘, 청소년들의 소비를 살펴보면, 합리적이지 못한 소비 습관으로 돈을 쉽게 쓰고, 비효율적인 사용으로 정작 필요할 때 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청소년들의 소비 습관에 관한 이화여대 대학원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청소년들이 의류를 살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은 모양과 디자인, 유행을 우선시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고 한다. 또한 '청소년들의 소비 성향에 미치는 주요 요인은 자아 존중감, 물질주의, 또래의 영향력, 대중매체의 영향력이고, 특히 또래들의 영향력이 높았다.'고 한다. 위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청소년들의 소비는 유행을 우선시하고 있다. 대다수 청소년이 부모로부터 용돈을 받아쓰기 때문에,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소비 욕구를 100% 채우지 못한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소비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청소년 범죄와 같은 일탈행위로 이어지는 경우도 종종 있다. 즉, 잘못된 소비 습관은 청소년 범죄까지 이어질 수도 있음이다. 청소년들의 합리적인 소비 습관을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이 필요할까? 먼저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소비 습관 중 어느 부분에서 잘못되었는지 체크해야 한다. 또래들 속에 속하고 싶어 하는 마음, 이러한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