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크모(ECMO)란? 심장이나 폐의 기능이 저하되어 생명유지가 어려운 경우, 심장과 폐의 기능을 대신해 작동하는 장치를 말한다. 에크모와 인공호흡기는 차이점이 있다. △먼저 인공호흡기는 폐기능이 저하되어 자가호흡이 어려운 환자에게 관을 삽입하고, 이를 통해 산소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호흡을 보조하는 보조장치이다. △ECMO는 심장 기능까지 보호가 필요한 환자에게 사용하는 장치이다. ECMO의 치료 원리는 환자의 몸에서 정맥을 통해 혈액을 빼낸 뒤, 혈액을 에크모 장치에서 산화 장치에 의해 산소를 주입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한다. 이 혈액을 환자의 대동맥 또는 폐동맥을 통해 다시 환자의 몸속으로 주입한다. 이 때 ECMO는 혈액을 돌려 보내는 방식에 따라 VV-ECMO와 VA-ECMO로 나뉜다. 즉, 폐를 보호하느냐?, 심장을 보호하느냐? 따라 나뉜다. △폐 이식수술 △심장수술 △심인성 쇼크 △심정지 △폐혈성 쇼크 등... 인공호흡기 사용이 불가한 경우 사용한다. 코로나19는 폐 기능을 저하시키는 질병인 만큼, 현재 ECMO는 코로나 중증환자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ECMO는 현재 코로나19의 유일한 치료 방법이지만, 합병증 발생 가능성 또한 높은 치
코로나19처럼 세계적인 전염병이 발생하면, 바이러스 변이에 대한 관심과 우려는 자연스럽게 커지기 마련이다. 현재 오미크론 변이와 같이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는 사람들에게 공포와 위협을 주고 있다. 사람들을 불안하게 하는 바이러스의 변이는 과연 무엇이고? 어떻게 발생하는 것인지 일이보자! 먼저, 바이러스(virus)란? DNA나 RNA를 유전체로 가지고 있으며, 단백질로 둘러싸여 있는 구조를 가진 것을 말한다. 스스로 물질대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살아 있는 세포에 기생한다. 때문에 동물이나 사람과 같은 숙주가 있어야만 생존할 수 있다. 바이러스는 핵산 종류에 따라, 크게 'DNA 바이러스'와 'RNA 바이러스'로 나뉜다. DNA는 이중나선 구조로 염기서열이 정해져있기 때문에 손상되어도 스스로 복구시킬 수 있는 기능 있지만, 반대로 RNA는 단일 가닥 구조로 복구능력이 DNA보다 약하기 때문에 염기서열이 손상되면 전혀 다른 모습으로 변이가 쉽게 일어난다. 따라서, DNA 바이러스에 비해 RNA 바이러스에서 변이가 더 활발하다. 우리가 지금 격고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발표한 세계 10대 전염병 중 8개가 RN
오늘날 남녀노소 누구나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다. 인터넷은 △신속한 정보 제공 △편리성 제공 △오락 콘텐츠 제공 등을 통해,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런 인터넷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인터넷 중독'이라는 신종 질병을 유발 하기도 한다. ▲ 사진출처 : //unsplash.com/s/photos/internet 인터넷 중독이란? 컴퓨터 및 인터넷 사용에 대한 자율적 통제가 불가능하며, 과도한 집착이나 충동적인 행동을 보이는 것을 말린다. 이 중독 증상이 심해지면, △우울증 △사회적고립 △충동조절장애 △약물남용 등의 문제를 일으 킬 수도 있다. 특히, 인터넷에 중독된 아동·청소년은 인터넷사용에 대한 자기 통제에, 어려움을 느낀다. 수면량과 운동량이 줄어들고, 취미가 없어지고,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도 현저히 줄어든다. 최악의 경우에는 죄책감과 우울감을 느낀다. 인터넷 중독 치료법에 대해서 전문가들은, 약물요법과 정신치료를 병행하라고 권유한다. 인터넷에 중독된 아동·청소년들은 현실에서 재미를 못 느낀다. 오히려 고통스러워 하거나 외로워서, 인터넷을 떠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다른 취미할동이나 또래 관계를 찾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 사진출처 : 넷플릭스 드라마 '소년심판' 현재, 소년범죄는 그 죄질이 성인만큼 잔인하지만, 제대로 처벌받지 않는 사례가 많다. 이에 많은 사람들은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한다. 국회에서도 촉법소년의 연령을 하향하는 법안이 발의되어 있다. ◆ 소년 사건 분류 ▲ 사진출처 : JY 법률사무소(블로그) 소년사건은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만 10세 미만은 '범법소년'으로, 어떠한 처벌도 받지 않는다. △만 10세 ~ 만 14세는 '촉법소년'으로, 형사처벌은 받지 않지만 보호 처분을 받는다. 촉법소년의 최고형은 소년원 2년이며 전과기록은 남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만 14세 ~ 만 19세는 '범죄소년'으로, 형사 처벌과 보호 처분 모두를 받을 수 있다. 최대 형량은 15년이며, 예외적으로 20년까지 가능하다. 전과기록도 남는다 ◆ 보호 처분이란? ▲ 사진출처 : JY 법률 사무소(블로그) 보호 처분이란? '가정법원 소년부' 또는 '지방법원 소년부'가 소년들을 보호하기 위해 내리는 결정이다. 여러 개의 보호 처분을 한 번에 받을 수도 있으며, 4호 또는 5호 처분을 받으면 보호관찰관의 보호관찰을 받는다. 10호 처분을 받는다면, 보호 처분 최대형인 소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