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김은영 외2019년 미디어교육 교사학습공동체의 결과보고서를 공유합니다. 미디어교육 연구를 위해 많은 활용 부탁드립니다. - 공동체명: 미디어라이브 - 저자: 전남고 김은영 교사 등 - 연구주제: 미디어를 올바로 읽는 눈, 세상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눈, 나의 세상을 빛나게 이끌어가는 눈 *유의사항 저작권법 제25조(학교교육 목적 등에의 이용) 등 저작재산권 제한 범위를 넘어선 무단 복제․배포․공중송신 등의 행위, 출처 미표시 등의 행위 시 저작권법에 저촉됩니다
저자 이성철 외2019년 미디어교육 교사학습공동체의 결과보고서를 공유합니다. 미디어교육 연구를 위해 많은 활용 부탁드립니다. - 공동체명: 미디어교육 체커톤 운영위원회 - 저자: 주감초 이성철 교사 등 - 연구주제: 청소년 체커톤 행사 운영 및 팩트체크 자료 개발 *유의사항 저작권법 제25조(학교교육 목적 등에의 이용) 등 저작재산권 제한 범위를 넘어선 무단 복제․배포․공중송신 등의 행위, 출처 미표시 등의 행위 시 저작권법에 저촉됩니다
저자 송주신 외2019년 미디어교육 교사학습공동체의 결과보고서를 공유합니다. 미디어교육 연구를 위해 많은 활용 부탁드립니다. - 공동체명: 빅카인즈 플러스 - 저자: 중대초 송주신 교사 등 - 연구주제: 세계를 읽는 새로운 방법 빅카인즈를 활용한 수업사례 개발 *유의사항 저작권법 제25조(학교교육 목적 등에의 이용) 등 저작재산권 제한 범위를 넘어선 무단 복제․배포․공중송신 등의 행위, 출처 미표시 등의 행위 시 저작권법에 저촉됩니다
2019 미디어교육 전국대회 자료집 ○ 많은 분들의 뜨거운 참여 속에 2019 미디어교육 전국대회를 마쳤습니다. 많은 참가자분들의 요청으로 현장에서 진행된 발표자료를 첨부해 드립니다. ○ 첨부한 발표 자료와 사진 등은 모두 저작권법 보호를 받는 저작물로서 해당 저(작)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저작권법 제25조(학교교육 목적 등에의 이용) 등 저작재산권 제한 범위를 넘어선 무단 복제․배포․공중송신 등의 행위, 출처 미표시 등의 행위 시 저작권법에 저촉됩니다. [출처] 한국언론진흥재단 FORME
저자 안용순 외2019년 미디어교육 교사학습공동체의 결과보고서를 공유합니다. 미디어교육 연구를 위해 많은 활용 부탁드립니다. - 공동체명: 새샘연구회 - 저자: 배명고 안용순 교사 등 - 연구주제: 삶을 가꾸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단계적 교육방안 연구 *유의사항 저작권법 제25조(학교교육 목적 등에의 이용) 등 저작재산권 제한 범위를 넘어선 무단 복제․배포․공중송신 등의 행위, 출처 미표시 등의 행위 시 저작권법에 저촉됩니다
Ⅰ.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뉴스 분석법 왜 필요한가? Ⅱ. 미디어 환경 변화와 좋은 저널리즘 1. 미디어 환경 변화와 뉴스 포맷의 다양화 1) 새로운 플랫폼과 다양한 뉴스 생산자 2) 스낵 컬처 콘텐츠와 뉴스 소비 3) 다양한 포맷의 뉴스 등장 4) 개념의 혼돈 속에 내려 본 뉴스의 정의 5) 뉴스 분석법의 중요성 2. 좋은 저널리즘의 필요성 1) 목숨보다 중요한 뉴스 2) 생명을 앗아갈 수도, 구할 수도 있는 뉴스 3) 일상을 지켜주는 뉴스 4) 민주 사회와 뗄 수 없는 뉴스 3. 좋은 뉴스란 무엇인가? 1) 미국의 ‘저널리즘을 염려하는 언론인 위원회’의 저널리즘의 기본 요소 2) 미첼 스티븐슨의 지혜의 저널리즘 3) 방송기자연합회의 방송뉴스 바로 하기를 위해 지양해야할 저널리즘의 가지 문제 4) 국가인권위원회와 한국기자협회의 인권 보도 준칙 4. 좋은 뉴스를 찾아내기 위한 뉴스 분석법과 수업 사례 Ⅲ. 뉴스 이해를 위한 뉴스 분석법 1. 뉴스 생산자 1) 핵심 개념: 뉴스는 생산자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다 2) 중요 질문 3) 확인 사항 2. 뉴스 구성요소 1) 핵심 개념: 뉴스는 뉴스만의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2) 중요 질문 3) 확인 사항 3. 의미…
Ⅰ. 서론 1. 문제 제기 1) 국내 학교 교육과정 변화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정책 동향 2) 해외의 미디어 리터러시 및 뉴스 리터러시 교육 환경과 동향 2. 연구목적 3. 연구방법 1) 연구 추진 체계 2) 연구방법 Ⅲ. 뉴스 교육자 역량 추출을 위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및 전문가 협의회 1. 전문가 델파이 조사 및 전문가 협의회 참여자의 구성 2. 전문가 델파이 조사 항목 3. 결과 분석 1) 뉴스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의 관계 2)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목표 및 내용 3) 뉴스 리터러시 교수자 역량 4. 요약 및 시사점 Ⅳ. 뉴스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미디어교육 교사 및 강사 역량 인터뷰 1. 인터뷰 조사 및 참여자의 구성 2. 개인 면담 또는 FGI 조사 항목 3. 인터뷰 결과 분석 1) 뉴스 리터러시 교육 업무 수행 2) 수업 목표 및 내용 3) 성공/실패 사례 및 요인 4) 우수 교육자 구별 표지 및 행동 개선 방향 4. 요약 및 시사점 Ⅴ. 뉴스 리터러시 교육자의 역량 및 교과목 구성 1. 뉴스 리터러시 교육자의 역량 1) 뉴스 리터러시 교육자의 역량군 설명 2) 뉴스 리터러시 교육자의 역량 2. 뉴스 리터러시 교육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과
<2권> 뉴스 리터러시 교육 Ⅱ: 평가 체계 및 내용 개론 05 뉴스 리터러시 교육평가 체계 … 1 1. 핵심 역량과 성취기준 중심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평가 … 1 1) 뉴스 리터러시 교육평가의 필요성 … 1 2) 교육평가란 무엇인가 … 2 3) ‘핵심 역량’과 뉴스 리터러시 교육 … 5 4) 역량의 평가: 성취기준과 루브릭(rubric) … 14 2. 뉴스 리터러시 교육평가준거 … 20 1) 뉴스 리터러시 일반 역량 평가를 위한 지수 … 21 2) 역량 개발 중심의 뉴스 리터러시 평가준거 체계 … 29 3. 뉴스 리터러시 교육평가준거의 적용 … 49 1) 교육평가준거 적용을 위한 시범수업 … 50 2) 평가 결과 … 55 3) 논의 및 소결 … 72 06 뉴스 리터러시 교육과정 내용 개론 … 75 1. 뉴스 이해 … 77 1) 뉴스의 정의 … 77 2) 뉴스의 필요성 … 95 3) 뉴스가치 … 107 4) 뉴스 생산 과정 … 117 5) 뉴스 보도 원칙 … 148 2. 뉴스 생태계와 미디어 이해 … 167 1) 뉴스 생태계 구조 … 167 2) 인터넷과 뉴스 생태계 … 180 3) 뉴스 소비 심리 … 190 4) 뉴스 이용의 개인화 … 200 3
본문 목차 01 서론 1.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 … 1 2. 교육 대상 범위 … 5 3. 연구서 구성 … 7 02 뉴스 리터러시 개념 검토 1. 뉴스 리터러시와 인접 개념들 … 9 2. 뉴스 리터러시가 포괄하는 핵심 개념 … 21 3. 뉴스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소개 … 31 4. 소결 … 74 03 뉴스 리터러시 교육과정 구성 1. 뉴스 리터러시 교육과정 개발 배경 … 79 2. 교육과정 개발 과정 … 85 3. 중·고등학생용 교육과정 시안 … 88 4. 대학 교양 강좌용 강의 계획 시안 … 143 5. 관련 개념·용어 설명 및 참고 자료 소개 … 150 04 뉴스 리터러시 교육 지원 체계 구축 방안 1. 뉴스 리터러시 교육 현황 및 지원 체계의 문제점 … 184 2. 뉴스 리터러시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한 지원 체계 구축 방안 … 207 3. 뉴스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 … 217 4. 요약 및 소결 … 228 참고문헌 … 229 저자 양정애 외 [출처] 한국언론진흥재단 FORME
차례 01 연구배경 1.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 1 2. 연구의 구성 … 4 02 미디어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1. 미디어교육의 개념 … 6 2. 미디어교육의 필요성 … 15 03 주요 국가의 미디어교육 현황 및 동향 1. EU … 20 2. 영국 … 25 3. 프랑스 … 32 4. 벨기에 … 39 5. 핀란드 … 42 6. 미국 … 53 04 한국의 미디어교육 현황과 문제점 1. 학교 미디어교육 … 72 2. 사회 미디어교육 … 112 05 결론 및 제언 … 164 참고문헌 … 185 부록 … 191 저자 황치성 박한철 정완규 조진화 [출처] 한국언론진흥재단 FORME
요약문 Ⅰ. 서론 15 II. 연구목적 19 III. 연구방법 21 1. 2차 자료분석 22 1) 연구대상 22 2. 관심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23 3. 델파이(delphi) 조사 24 V. 연구내용 28 1. 해외 읽기진흥 정책 현황 28 1) 독서를 통한 읽기진흥 28 2) 미디어 교육을 통한 읽기진흥 29 3) 해외 읽기진흥 정책의 유형화 32 (1) 독서환경 및 인프라 구축 33 (2) 독서 장려를 위한 세제지원 34 (3) 읽기진흥 캠페인 34 4) 소외계층의 독서활동 지원정책 35 (1) 소외계층의 독서활동 지원과 시민단체 35 (2) 소외계층의 읽기진흥과 신문읽기 37 5) 읽기진흥 정책평가 38 6) 국가별 읽기 정책 진행 현황과 평가 39 (1) 미국 39 (2) 일본 47 (3) 영국 59 (4) 프랑스 70 (5) 독일 81 7) 국가별 읽기진흥 정책의 특징 90 2. 관심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93 1) 진행 과정 및 응답자 93 2) 집단별 인터뷰 내용 분석 95 3) 주제별 분석 103 3. 델파이(Delpi) 조사 111 1) 읽기진흥 해외 정책 평가 112 2) 읽기진흥…
요약문 Ⅰ. 서론 19 1. 문제제기 및 연구 필요성 19 2. 연구목적 21 3. 연구방법 22 1) 문헌조사 23 2) 사례조사 23 3) 시범수업 운영 및 참여관찰 24 4) 학생 및 교사 등 미디어교육 주체 대상 의견조사 24 Ⅱ.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 변화와 해외 교육 사례 분석 26 1. 교육패러다임의 변화와 미디어 리터러시 26 1) 교육패러다임의 변화 26 2) 새로운 교육패러다임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의미 29 2. 소셜미디어 환경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 32 1)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된 국내 연구 흐름 32 2) 소셜미디어 환경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 고찰 33 3. 해외 미디어교육 수업 사례 및 현황 37 1) 영국 미디어교육 수업사례 및 현황 38 2) 호주 미디어교육 수업사례 및 현황 46 3) 미국 미디어교육 수업사례 및 현황 50 4) 해외 미디어교육 수업사례 분석 및 시사점 53 Ⅲ. <미디어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국내 사례 분석 56 1.
01 연구배경 … 1 1.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 1 2. 연구의 구성 … 4 02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 동향과 사례에 대한 종합 분석 … 6 1. 미디어 지형 변화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 … 6 2. 미디어 리터러시의 정책적 지향: 시민성과 경제적 성장 동인 … 12 3. 미디어 리터러시와 21세기 핵심 역량 … 18 4. 국가 교육과정과 미디어 리터러시 … 28 03 외국의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 사례 … 40 1. 영국 … 40 2. 캐나다 … 62 3. 미국 … 82 4. 핀란드 … 99 5. 오스트레일리아 … 114 6. 싱가포르 … 121 7. 홍콩 … 130 04 결론 … 140 1. 연구결과의 함의 … 140 2. 결론 … 148 참고문헌 … 151 [출처] 한국언론진흥재단 FORME
기 획: 한국언론진흥재단 조사분석팀 필 자: 김광재 한양사이버대 광고미디어학과 교수 1932년 <뉴욕타임스>가 처음 도입했던 신문활용교육(Newspaper in Education)이 최근 들어 뉴스리터러시 교육으로 새로운 변신을 꾀하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 확산에 따라 종이신문 중심의 신문활용교육과 기술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그램이 더 이상 실효성이 없다는 문제의식이 생겨나면서, 세계신문협회를 비롯한 각국의 신문사들은 뉴스리터러시 교육으로의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 이 보고서는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19개 국가 및 세계신문협회의 뉴스리터러시 교육 동향 분석을 통해 전통적인 신문활용교육을 고수하고 있는 국내 신문사와 관련 단체에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목 차> 1. 서문 2. 국가별 뉴스리터러시 동향 1) 오스트리아 2) 벨기에 3) 체코공화국 4) 덴마크 5) 핀란드 6) 프랑스 7) 독일 8) 헝가리 9) 아일랜드 10) 이탈리아 11) 룩셈부르크 12) 네덜란드 13) 노르웨이 14) 폴란드 15) 스페인 16) 스웨덴 17) 영국 18) 일본 19) 미국 20) 세계신문협회 3. 맺는말 [출처] 한국언론진
01 연구배경 … 1 1.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 1 2. 연구의 구성 … 5 02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과 21세기 핵심역량 … 7 1.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행태 … 7 2.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과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 … 31 3. 미디어 리터러시와 21세기 핵심역량 … 56 03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과 21세기 핵심역량의 관계 … 89 1. 조사방법 … 89 2. 분석결과 … 95 04 결론 및 제언 … 168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함의 … 168 2. 제언 … 179 참고문헌 … 183 [출처] 한국언론진흥재단 FORME
에크모(ECMO)란? 심장이나 폐의 기능이 저하되어 생명유지가 어려운 경우, 심장과 폐의 기능을 대신해 작동하는 장치를 말한다. 에크모와 인공호흡기는 차이점이 있다. △먼저 인공호흡기는 폐기능이 저하되어 자가호흡이 어려운 환자에게 관을 삽입하고, 이를 통해 산소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호흡을 보조하는 보조장치이다. △ECMO는 심장 기능까지 보호가 필요한 환자에게 사용하는 장치이다. ECMO의 치료 원리는 환자의 몸에서 정맥을 통해 혈액을 빼낸 뒤, 혈액을 에크모 장치에서 산화 장치에 의해 산소를 주입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한다. 이 혈액을 환자의 대동맥 또는 폐동맥을 통해 다시 환자의 몸속으로 주입한다. 이 때 ECMO는 혈액을 돌려 보내는 방식에 따라 VV-ECMO와 VA-ECMO로 나뉜다. 즉, 폐를 보호하느냐?, 심장을 보호하느냐? 따라 나뉜다. △폐 이식수술 △심장수술 △심인성 쇼크 △심정지 △폐혈성 쇼크 등... 인공호흡기 사용이 불가한 경우 사용한다. 코로나19는 폐 기능을 저하시키는 질병인 만큼, 현재 ECMO는 코로나 중증환자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ECMO는 현재 코로나19의 유일한 치료 방법이지만, 합병증 발생 가능성 또한 높은 치
코로나19처럼 세계적인 전염병이 발생하면, 바이러스 변이에 대한 관심과 우려는 자연스럽게 커지기 마련이다. 현재 오미크론 변이와 같이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는 사람들에게 공포와 위협을 주고 있다. 사람들을 불안하게 하는 바이러스의 변이는 과연 무엇이고? 어떻게 발생하는 것인지 일이보자! 먼저, 바이러스(virus)란? DNA나 RNA를 유전체로 가지고 있으며, 단백질로 둘러싸여 있는 구조를 가진 것을 말한다. 스스로 물질대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살아 있는 세포에 기생한다. 때문에 동물이나 사람과 같은 숙주가 있어야만 생존할 수 있다. 바이러스는 핵산 종류에 따라, 크게 'DNA 바이러스'와 'RNA 바이러스'로 나뉜다. DNA는 이중나선 구조로 염기서열이 정해져있기 때문에 손상되어도 스스로 복구시킬 수 있는 기능 있지만, 반대로 RNA는 단일 가닥 구조로 복구능력이 DNA보다 약하기 때문에 염기서열이 손상되면 전혀 다른 모습으로 변이가 쉽게 일어난다. 따라서, DNA 바이러스에 비해 RNA 바이러스에서 변이가 더 활발하다. 우리가 지금 격고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발표한 세계 10대 전염병 중 8개가 RN
오늘날 남녀노소 누구나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다. 인터넷은 △신속한 정보 제공 △편리성 제공 △오락 콘텐츠 제공 등을 통해,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런 인터넷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인터넷 중독'이라는 신종 질병을 유발 하기도 한다. ▲ 사진출처 : //unsplash.com/s/photos/internet 인터넷 중독이란? 컴퓨터 및 인터넷 사용에 대한 자율적 통제가 불가능하며, 과도한 집착이나 충동적인 행동을 보이는 것을 말린다. 이 중독 증상이 심해지면, △우울증 △사회적고립 △충동조절장애 △약물남용 등의 문제를 일으 킬 수도 있다. 특히, 인터넷에 중독된 아동·청소년은 인터넷사용에 대한 자기 통제에, 어려움을 느낀다. 수면량과 운동량이 줄어들고, 취미가 없어지고,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도 현저히 줄어든다. 최악의 경우에는 죄책감과 우울감을 느낀다. 인터넷 중독 치료법에 대해서 전문가들은, 약물요법과 정신치료를 병행하라고 권유한다. 인터넷에 중독된 아동·청소년들은 현실에서 재미를 못 느낀다. 오히려 고통스러워 하거나 외로워서, 인터넷을 떠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다른 취미할동이나 또래 관계를 찾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 사진출처 : 넷플릭스 드라마 '소년심판' 현재, 소년범죄는 그 죄질이 성인만큼 잔인하지만, 제대로 처벌받지 않는 사례가 많다. 이에 많은 사람들은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한다. 국회에서도 촉법소년의 연령을 하향하는 법안이 발의되어 있다. ◆ 소년 사건 분류 ▲ 사진출처 : JY 법률사무소(블로그) 소년사건은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만 10세 미만은 '범법소년'으로, 어떠한 처벌도 받지 않는다. △만 10세 ~ 만 14세는 '촉법소년'으로, 형사처벌은 받지 않지만 보호 처분을 받는다. 촉법소년의 최고형은 소년원 2년이며 전과기록은 남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만 14세 ~ 만 19세는 '범죄소년'으로, 형사 처벌과 보호 처분 모두를 받을 수 있다. 최대 형량은 15년이며, 예외적으로 20년까지 가능하다. 전과기록도 남는다 ◆ 보호 처분이란? ▲ 사진출처 : JY 법률 사무소(블로그) 보호 처분이란? '가정법원 소년부' 또는 '지방법원 소년부'가 소년들을 보호하기 위해 내리는 결정이다. 여러 개의 보호 처분을 한 번에 받을 수도 있으며, 4호 또는 5호 처분을 받으면 보호관찰관의 보호관찰을 받는다. 10호 처분을 받는다면, 보호 처분 최대형인 소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