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미국에 CNN방송은 한국의 K-팝과 K-드라마로 인해, 한국어 배우기 열풍이 불고 있다고 전했다. 세계인들이 가장 많이 배우는 언어가 '한국어'라고 전했다. 실제로, 지난해 외국어 학습 앱 '듀오링고(Dulingo)'에서 7번 째로 많이 학습한 언어가 한국어였다. (※듀오링고 : 세계적으로 인기있는 언어 학습 서비스로, 약 5억 명가량 이 앱을 이용하고 있다.) 한국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많이 학습하고 있다. 이외에도 태국, 인도네시아,파키스탄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인기다. 미국의 고등교육기관 언어 강좌 중, 한국어 교실 수강자 수는 2002년 5200명에서 2016년 1만4000명으로 늘어났다. 이 때 다른 나라의 언어 수강자 수는 정체되거나 감소했다. 컬럼비아대 한국어학부 부장 '서주원' 교수는 "처음 시작할 때와 비교하면, 한국에 대한 국가 인식, 한국 문화와 사회, 한국에 대한 인식이 매우 긍정적으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CNN은 이러한 한국어에 대한 관심증가는 '한류' 덕분이라고 언급했다. △2012년 싸이의 '강남스타일' 로 세계를 들썩이게 했고, △2020년 방탄소년단은 빌보드 62년 최초로, 한국어 곡으로 빌보드 Hot 100에서…
지난 29일,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정부 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고교학점제 도입 시기에 대해 "지난번에 교육과정을 이미 고시했기 때문에, 고교학점제는 계획대로 그냥 가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 고1 공통과목에 적용하려고 한 성취평가제에 대해서는 “고교학점제의 핵심인 절대평가 방식은 현장의 수용 여건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내년 2월에 시행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고교학점제는 무엇이고, 고교학점제가 도입되면 학교는 어떻게 변할까? 고교학점제는 학생 개개인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 교과목을 스스로 선택해 이수하고, 누적 학점이 일정 기준에 도달하면 졸업하는 제도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학생들은 자신의 희망 진로와 적성을 토대로 학업 계획을 수립하고, 시간표를 구성할 수 있다. 과목별 출석률(66.6%)과 학업 성취율(40%)을 종합해, 3년 간 192학점 이상 취득하면 졸업을 할 수 있다. 다른 학교들과의 온·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으로 다양한 과목을 들을 수 있고, 대학과 연구기관 등의 전문가도 수업에 참여한다. 공통과목을 제외한 모든 선택과목에 성취평가제가 도입되어, 학생의 성취수준 도달 여부를 평가한다. 학생들
▲ 출처 : 국제 뉴스 지난 7월, 울산의 한 요양원에서 성폭력 범죄가 발생했다. 한 남성 노인이 여성 노인의 침대에 누워있거나, 여성 노인의 신체 일부를 만지는 등의 행동이 목격되었다. 노인 보호 전문 기관에 성폭력 신고를 했다. 그러나 노인 보호 전문 기관은 이 사실을 경찰에게 알리지 않았다. 심지어 보호자들에게도 사건 발생 3달이 지난 뒤에야 사실을 알렸다. 노인 보호 전문 기관은 이 사건에 대해서 지난 10월, 해당 요양원의 방임학대로 판명했다. 그러나 성폭력 가해자에 대한 조치나 판정이 없었다. 성폭행으로 의심되는 사건을 경찰에게 넘기지 않았는지? 성폭력에 대한 조사가 제대로 졌는지 의문이 남는다. 노인 학대는 공간에 따라 크게 '가정학대'와 '시설학대'로 분류된다. 가정학대는 가정 내에서 일어나는 학대를 말하는데, 가해자가 배우자나 자녀인 경우가 많다. 학대를 받는 노인들은 자신의 배우자나 자녀를 처벌해달라고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처벌이 힘들다. 시설학대는 요양원이나 양로원 등의 시설에서 발생하는 학대다. 이 경우는 시설에 근무하는 직원들의 학대도 해당되지만, 시설 안에서 발생하는 노인들간의 학대 행위를 방관하는 것 또한 해당한다. 앞은로,
안녕하세요~ USEN 기자단 여러분! 2022년 하반기동안 여러분이 작성한 기사가 웹진으로 발행되었습니다~! 올 해 고생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유쎈 웹진 제 2호는 울산 중고등학교 학생기자단들이 만든 영자 신문 기사 중 일부를 편집한 것입니다 더 많은 기사는 USEN(usenuri.co.kr)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하단에서 pdf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울산 중등 학생 영자신문 기자단 인터넷신문 바로가기 ▼▼
▲ 사진 출처: //m.blog.naver.com/eckedu/222316395204 청소년기는 소년·소녀에서 성인으로 성장을 해나가는 시기다. 즉, 아직 미숙한 부분이 더 많고, 계속 성장해가야 한다는 의미다. 청소년기엔 누구나 한 번쯤, 기분이 좋다가도 갑작스레 다운되고, 상대방의 질문에 퉁명스럽게 답했던 경험을 해 보았을 것이다. 그 이유는 이성적 판단과 정서 조절을 하는 뇌 발달이 미숙하고, 호르몬 변화오 인한 격한 감정기복때문이다. 더군다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사람과 사람의 접촉을 통해서 배우고 경험하는 기회가 줄었고, 인터넷 과다 사용으로 상대방의 정서를 캐치하고 공감하는 방법을 경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청소년기에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적절하게 해소하는 경험을 하지 못하면, 자신의 감정을 통제하기 어려워지고, 상대방의 감정에도 공감하지 못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렇게 성인이 되면, 스트레스나 사소한 자극에도 과도한 감정반응을 불러일으키게 되고, 상황과 감정의 불일치 현상도 일어날 수 있음으로, 일상 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런 상황이 반복 된다면, 삶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따라서 청소년기의 아이들은 감정의 소용돌이와
학생들의 미디어 이용시간 급속히 늘며 이에 따른 영향력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따라 학생들의 진로도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학생 희망직업 결과를 보면, 초등학생들이 꼽은 희망직업 1위는 운동선수, 2위는 의사, 3위는 교사였다. 4~10위는 △크리에이터 △경찰관 △조리사 △프로게이머 △배우 △가수 △법률전문가 등으로 조사됐다. 중학생은 1위 교사, 2위 의사, 3위 경찰관이었다. 고등학생은 1위 교사, 2위 간호사, 3위 군인이었다. 온라인기반 산업의 발달로 중·고등학생의 컴퓨터공학자·소프트웨어 개발자 희망직업 순위가 전년보다 크게 올랐다. 중학생은 2020년 컴퓨터공학자·소프트웨어개발자 순위가 11위였지만 8위로 올랐고, 고등학생 역시 7위에서 4위로 껑충 뛰었다. 교육부는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온라인 사업이 좀 더 빠르게 발달됐고 학생들이 원격수업과 같은 온라인 기반의 활동을 하면서 이와 관련된 사업에 더 많이 관심을 가지게 된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이렇게 학생들의 희망 진로는 바뀌고 있고 그중 PD (프로듀서)가 되는 법을 알아보자, 필요한 능력은 창의력, 리더십, 의사소통력, 모니터링(Monitoring)이며 학업 성적은 주로 국어와 사회를 본다.
지난 15일 중부지방에서는 최고10cm의 폭설이 발생했다. 기상청은 이후로도 엄청난 한파를 예상하고 있다.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예방하고 대처해야 할까? 국민재난포털에 따르면 한파 발생시 항시 기상상황을 주목하고 미리 근처병원 연락처 우 치등을 조사한뒤 저체온증 및 한랭질병들에 대해 대비해야한다. 그리고 보일러 배관 난방기구들을 사전에 점검하고 동파방지에 힘써야한다. 내복이랑 비상용품 의약품 라디오등을 준비해둬야 한다. 한파시에는 특히 신체에 대해 신경을 많이 써야됨으로 장시간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주기적으로 휴식을 해야합니다. 그러면 폭설 한파시에는 대형차랑들이 도로에 염화나트륨을 뿌리면서 대비하지만 도로이외에 인도나 계단에서는 따로 염화나트륨을 뿌려놓거나 천이나 헝겁같은거로 덮어두지 않으면 미끄러짐사고나 넘어짐 사고가나서 크게 다칠 수 있다. 하지만 이와같은 제설제를 사용하면 금속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부식시키는 문제가 발생해 요즘에는 포도등 친환경 제설소재에 대해서도 많이 연구되고있다. ▲ 출처 //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11111_0001648178 ▼ 오남고등학교 인터넷신문 바로가기 ▼
▲ 사진 출처: BBC NEWS 코리아 유럽연합(EU)이 삼림을 벌채하여 생산된 커피, 팜유, 고무 등의 제품의 수입과 판매를 금지하는 강력한 산림 보호 조처를 취하기로 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지난 6일(현지시각) 27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이사회와 유럽의회가 산림벌채와 관련된 제품의 수입과유통을 금지하는 규정을 제정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규제 대상 품목은 소고기, 콩, 코코아, 커피, 팜유 등의 농산물, 목재와 고무 같은 원자재, 가죽, 초콜릿, 가구 같은 2차 가공품들이다. 수입·유통 업체들은 대상 제품이 삼림을 벌채하여 조성된 농지와 무관하다는 것을 입증해야만 유럽연합에서 제품을 판매할 수 있다. 규정을 위반하는 업체는 유럽연합 총 매출의 최대 4%가 벌금으로 부과된다. 환경단체들은 환영했다. 세계자연기금(WWF)은 "획기적 결정"이라고 평가했고, 그린피스 대변인은 “이 법이 기업들이벌목으로 이익을 얻는 걸 막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조처는 산림벌채를 막기 위해 추진되었지만, 주요 수출국들이 유럽연합의 규제에 맞추기 위해서는 행정비용이 증가해 일종의 무역장벽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기도 했다. ▼ 오남고등학교 인터넷신문 바로가기 ▼
지난 10월 제112회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됐다. 노벨상이란 스웨덴의 발명가인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의해 만들어진 상으로, 인류의 복지에 공헌한 사람들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총 6개 부문(문학, 화학, 물리학, 생리학 또는 의학, 경제학)으로 이루어져 있다. 2022 노벨상 수상자 중 주목을 받는 한 인물이 있다. 바로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스반테 페보 교수이다. 그는 "멸종된 호미닌의 게놈과 인간 진화에 관한 그의 발견"으로 수상했다. 발견의 내용은 이렇다. 페보 교수는 우선 그의 연구팀에서 1997년 네안데르탈인 미토콘드리아 DNA 염기서열을 해독했고, 이어서 게놈 일부를 해독하기 시작했다. 결국 그는 4만 년 된 뼛조각에서 DNA를 시퀀싱했다. DNA 시퀀싱(DNA sequencing)이란 DNA에서 뉴클레오타이드의 순서인 염기서열을 결정하는 과정을 일컫는다. 한편, 2010년 5월 사이언스지에는 페보 교수팀의 연구에서 현생 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의 게놈이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는 내용이 실렸다. 그는 결정적으로 인류의 뿌리는 아프리카에 있음을 입증하며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가 수만 년 간 공존하는 동안 서로 피를 나누었다는 것을 증명했다.…
▲ 출처 : AP연합뉴스 최근까지 중동과 서남아시아 지역에서는 '명예살인'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명예살인이란 집안의 명예를 더럽혔다는 이유로 가족 구성원을 살해하는 관습을 지칭한다. 하지만 주로 여성을 대상으로 잔혹한 방법을 통해 시행이 된다. 명예살인은 이슬람 국가에서 빈번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이슬람 종교의 영향으로 여겨지곤 하는데, 이슬람경전인 코란에는 명예살인에 대한 언급이 되어있지 않다. 코란은 기본적으로 모든 생명의 대한 존중을 강조하며, 사법절차를 거치지 않은 어떠한 직접적 살인도 금하고 있다. 다만, ‘여성은 남성의 보호를 받아야 한다’는 문구 때문에 이슬람을 믿는 각 나라들이 이를 각자의 전통 가치관이나 문화특성에 따라 제각기 확대 해석하면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유네스코를 포함한 다수의 국제기구에서는 '사람을 해하는 문화나 관습은 문화로 인정하지 않겠다.' 등의 공식 입장을 발표함으로서 명예살인을 비판하며 해당 문화의 철폐를 주장하고 있다. ▲ 출처 : 한국일보 하지만 아직 중동 내 정책은 제자리걸음에 멈춰있다. 이란의 정부는 이른바 ‘명예 살인’에 대한 처벌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명예 살인과 같은 가정 폭력 형량을 높이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둔전제일 초등학교 주변 환경이 안전한지 조사했다. 둔전제일 초등학교의 통학 환경은 두 가지로 나뉘었는데 먼저 초등학교 앞쪽 환경을 확인해 보았다. △ 둔전제일 초등학교 앞 도로의 모습 도로에는 신호등이 많았고 신호등이 잘 보이도록 노란색으로 칠해 안전에 신경을 쓴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신호등 앞에는 '옐로 카펫 (어린이 안전 보행을 위한 설치물)' 이 있어 운전자이 신호 대기 중인 어린이들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둔전제일 초등학교 앞 엘로카펫의 실제 모습 하지만 둔전제일 초등학교를 조금 벗어나면 위험한 환경을 그대로 볼수 있다. 차량이 도로 양쪽에 주차를 할 경우, 아이들은 주차된 차들 사이로 지나가야 하는데 이때 만약 차가 진입한다면 아이들과 운전자 모두 움직일 수 없는 위험한 상황이 벌어진다. 만일 차량이 아이를 보지 못하고 그대로 도로로 진입한다면 자칫 인명 피해를 입을 수 있는 교통사고가 날 수 있기 때문이다. △ 둔전제일 초등학교 인근 좁아진 도로의 모습 둔전제일 초등학교 아이들의 안전한 등하교를 위해 하루빨리 근처 도로의 환경을 개선하거나 주차장을 건설하는 등 학생 안전을 보장해 주는 환경조성이 시급하다. ▼용인
코로나 19로 서비스업종이 타격을 입으면서 자영업자의 수는 줄어들었지만, 커피 전문점 창업자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지역 기준으로 커피전문점의 수는 무려 3,092 곳으로 경쟁카페가 늘어나면서 각 카페의 차별화가 중요해지고있다. 차별화를 두는 방법으로는 크게, 메뉴구성, 인테리어, 맛, 가격 등이 있다. 우리는 이러한 카페들의 차별화된 점들을 알아보고자 역북동 카페거리 일대의 카페들을 직접 찾아 조사해 보았다. 먼저, 학교 앞에 위치한 M 카페의 경우 인테리어와 홍보 등에서는 부족함이 보였지만 기존 카페에서 볼 수 없는 메뉴들과 학교앞 상권이라는 위치적 특성이 차별화된 점이다. △ 용인시 역북동 카페 거리의 모습 역북 광장 쪽에 위치한 H카페는 작은 가게이지만, 전면을 유리로 만들어 개방감과 방문성을 높였고, 트랜디한 인테리어로 사람들의 관심을 사로잡았다. 또 메뉴와 가격에 있어서 타 카페들 보다 확실히 저렴한 가격으로 차별화를 주었다. 또 역북동 거리에 위치한 C카페는 포장용기를 캔으로 해 차별화를 두었다. △ 용인시 역북동 C카페의 메뉴 탐방을 통해 여러 카페의 차별화 전략을 알 수 있었고, 앞으로 카페 창업을 한다면 차별화를 두는데 집중해야겠다는
최근 뉴스들을 보면, 가짜 뉴스들이 많다. 가짜 뉴스란? 사람들의 흥미와 본능을 자극하여 시선을 끄는 언론의 일종이다. 가짜 뉴스는 사람들이 많이 보는 SNS를 통해 주로 확산이 되는데, 각종 사건과 사고, 코로나19 등이 대표적으로 많이 확산되었다. 이런 허위 정보를 가장 많이 유통하는 경로는 유튜브가 1위다. 유튜브로 인한 가짜 뉴스 접촉도는 34%라고 한다. 대부분 사람은 자신이 가짜 뉴스에 속고 있는지도 모르고, 가짜 뉴스를 믿고 살아가고 있다. 요즘에는 사람들이 가짜뉴스라는 단어를 많이 접해서 조심하고 있지만, 무엇이 진짜 뉴스인지 가짜 뉴스인지는 잘 모른다. 미국의 <factchek.org>는 이러한 가짜 뉴스 구별법 기준을 제시했다. 첫 번째, 뉴스의 출처를 파악해라. 두 번째, 글을 끝까지 읽어라. 세 번째, 작성자를 확인해라. 네 번째, 근거자료를 확인해라. 다섯 번째, 작성 날짜를 확인해라. 여섯 번째, 자신이 선입견을 품고 있는 건 아닌지 확인해라. 일곱 번째, 전문가에게 물어봐라. 이처럼 낯선 작성자나 근거자료가 충분하지 않다면, 가짜 뉴스가 아닌지 의심해야 한다. SNS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우리 MZ세대들은 어떤 마음가짐을
지난 17일에 치루어진 <2023학년도 수능>의 필적 확인 문장이 화제가 되고 있다! 수능에서 본인 여부 확인을 위해 진행되는 '필적 확인란'은 1교시부터 마지막 시간까지 수험생이 직접 자필로 기입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문구는 긴장하고 있을 수험생들에게 조금이나마 힘과 위로가 되어주기 위해 선정하는 문구다. 이번 수능에서 시용된 문구는 한용운 시인의 '나의 꿈은 맑은 바람이 되어서'라는 문구로,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필적확인 문구의 글자수는 12자~19자 사이여야 하고, 문구 중에는 'ㄹ,ㅁ,ㅂ' 중 2개 이상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또 수험생들에게 긍정과 희망을 줄 수있는 단어가 들어간 문구, 그리고 국내 작가의 작품 등의 기준을 고려해, 출제 위원들의 상의로 선정된다. ▼안산강서고등학교 인터넷신문 바로가기▼
Ulsan City creates a <Companion Animal Health Culture Center> where companions and non-companions can enjoy together. The city expects that once the center is created, it will be able to increase the adoption rate of abandoned companion animals. On November 28, the city budgeted 100 million won for research services for the establishment of a companion animal health culture center in the next year's budget. This center is a pledge project of Mayor Kim Doo-gyeom for the protection of abandoned animals. The city is promoting the creation of a happy companion animal culture park where peopl
지난해 미국에 CNN방송은 한국의 K-팝과 K-드라마로 인해, 한국어 배우기 열풍이 불고 있다고 전했다. 세계인들이 가장 많이 배우는 언어가 '한국어'라고 전했다. 실제로, 지난해 외국어 학습 앱 '듀오링고(Dulingo)'에서 7번 째로 많이 학습한 언어가 한국어였다. (※듀오링고 : 세계적으로 인기있는 언어 학습 서비스로, 약 5억 명가량 이 앱을 이용하고 있다.) 한국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많이 학습하고 있다. 이외에도 태국, 인도네시아,파키스탄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인기다. 미국의 고등교육기관 언어 강좌 중, 한국어 교실 수강자 수는 2002년 5200명에서 2016년 1만4000명으로 늘어났다. 이 때 다른 나라의 언어 수강자 수는 정체되거나 감소했다. 컬럼비아대 한국어학부 부장 '서주원' 교수는 "처음 시작할 때와 비교하면, 한국에 대한 국가 인식, 한국 문화와 사회, 한국에 대한 인식이 매우 긍정적으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CNN은 이러한 한국어에 대한 관심증가는 '한류' 덕분이라고 언급했다. △2012년 싸이의 '강남스타일' 로 세계를 들썩이게 했고, △2020년 방탄소년단은 빌보드 62년 최초로, 한국어 곡으로 빌보드 Hot 100에서
지난 12일, 한 달 여 동안 본교 교육공동체가 함께 한, <2023학년도 학교자율과제>에 대한 논의 결과가 발표되었다. 본교의 혁신교육부는 최종 투표에 올라 온 세 개의 주제 중, '다양한 진로진학 교육과정 운영'이 56.7%(207명)의 압도적인 지지로 최종 결정됐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3월부터 시작되는 새 학기는 교육공동체의 염원을 담아, 학생들의 진로진학과 긴밀하게 연계되는 교육과정이 각 업무부서별 학교 행사와 교과별 수업활동 등을 통해 펼쳐질 예정이다. 이 결과는 용인교육지원청의 공문을 접수(2022년 12월 7일)한 이후, 한 달 넘는 시간 동안 우리 교육공동체의 다양한 의견을 최대한 반영한 결과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학교자율과제는 교육청에서 제시한 50개의 예시안 중, 교직원 대토론회(2022.12.12.)와 투표를 통해 5개의 안으로 좁혔고, 다시 5개의 안을 놓고 본교 교육공동체가 지난 1월 3일 시청각실에 모여 열띤 토론을 펼쳤다. 이후 △다양한 진로진학 교육과정 운영 △기본 인성교육 강화 △창의융합형 독서·인문·글쓰기교육 및 독서문화 확대, 3개 안이 최종 후보로 올랐고, '다양한 진로진학 교육과정 운영'이 최종 선정되었
지난 12월 30일에는 지난 3년 동안 코로나로 중단됐던 '가온제'가 열렸다. 반가운 마음으로 축제를 즐기는 포곡인들의 즐거운 표정을 사진으로 만나보자. 포곡고등학교 기자 | ▼ 포곡고등학교 인터넷신문 바로가기 ▼
2022학년도를 마무리를 앞둔 지난 1월 3일(화) 본교 시청각실에서는 교육공동체가 함께 참여해 2023학년도 '학교자율과제'를 정하기 위한 대토론회가 열렸다. 새경기교육 체제 하에서 학교의 자율적 운영이라는 목적으로 새롭게 시도되는 '학교자율과제'는 우리 포곡고의 환경과 상황에 맞는 맞춤형 학교운영 방향을 교육공동체의 숙의를 거쳐 학교 스스로 정하고, 이에 따라 책임 있는 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것으로 어떤 과제를 정하느냐가 2023학년도 포곡고의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과정이었다. 특히 내년 예산의 5% 이상을 중점과제 운영에 집중하게 되어 있어 학생들의 학교생활과 교육과정의 방향을 좌우할 수 있는 핵심적인 내용이기도 했다. 이러한 까닭에 대토론회는 준비과정에서부터 철저를 기했다. 먼저 주제 선정의 효율을 위해 지난 12월 12일 교직원 대토론회와 1차 투표(교직원 대상)를 거쳐 보다 전문성을 가진 교직원을 주축으로 교육청에서 제시한 50개의 주제를 우리 학교 상황에 필요한 5개의 주제로 줄였다.(기사 참고: http://www.pogok.net/news/article.html?no=915) 또한 교육공동체를 대표하는 토론자를 선정하는 과정에도 공